죽음에 대한 수업은 없었어요
예외적 상황이니 그냥 넘어가야 하나요? 이럴 때 더 난감한 성차별 타파하기!: 죽음과 장례 편
2강 <장례식 속 여성들> 후기
작성 | 2강 참여자 김윤정·최경숙, 기획조직국 개미
<2강: 장례식 속 여성들>은 선보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교육으로 진행되었다. 교육 참여자들의 장례식의 기억을 떠올리며 시작된 시간은 우리 사회 장례의 현실을 지적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한국 사회의 장례는 “가부장적, 남성 중심적 장례문화”인 경향이 있고, 남성이 주도하는 장례 의식과 절차, 그리고 성차별적인 역할분담으로 인해 “성불평등한 장례문화”의 모습을 보인다고 했다.
우리가 이런 장례 문화를 견디고 있는 이유로는 우리에게 장례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없기 때문이며, 고인에 대한 애도나 추모, 남겨진 사람들에 대한 위로보다 형식과 절차, 의례에 압도되기 때문이라고도 말했다. 따라서 대안 장례문화를 위해서는 장례의 의미와 본질을 되짚어보고 의식과 절차에 연연하기보다 애도와 위로에 집중하는 장례를 상상해볼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강의 이후 이어진 워크샵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로 교육 참여자들과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① 나는 장례식장에서 이런 성차별을 겪었다
- 염을 할 때, 화장할 때, 모든 순간순간에 '고인 확인'을 남자인 상주를 불러서 확인
- 부조금 받는 곳에는 거의 남성
- 할머니 장례식에서 삼일 내내 나는 발바닥에 땀나게 음식 나르는데, 쓰지도 않는 방명록 앞에 앉아서 스마트폰 보는 사촌 오빠와 남동생
② 나는 한국의 장례문화에서 □□□이 불편하다
- 오래 산 사람이 돌아가셨다고 하면 으레 '호상'이라고 하는 것
- 누가 권력자인지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남성 가장 혹은 장남의 상주문화가 문제
③ 추모와 애도가 있는 장례를 위해 □□□이 필요하다
- 성평등한 장례문화 만들기 공모전
- 진심으로 추모하고 싶고 유가족을 위로하고 싶은 사람들만 장례식에 참석
④ 나의 장례식은 이런 모습이었으면 좋겠다
- 화장을 한 유골을 보석으로 만들어 딸에게 남겨주고 싶음
- 내가 생전에 좋아했던 것들이 전시된 장례식
2강에 참여한 김윤정 님은 이번 강의가 “나에게 여러 의미 있는 질문을 남겨주었다”라며 후기를 보내주셨고, 최경숙 님은 “2강에 대한 기대가 성차별 사회에 대한 깨달음을 주었다”라며 후기를 보내주셨다.
‘죽음에 대한 수업은 없어요.’
강의 자료에서 가장 눈에 띈 문장이었다. (내가) 생의 마무리에 대해서 얼마나 등한시하는지, 한국의 장례 절차에 얼마나 무지한지 알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내가 너무 모르니까,’ ‘대체할 문화가 없어서’ 경황이 없는 중에 기존의 관습을 그대로 따르는 선택을 하게 된다고 한다. (장례문화는) 수의, 상복, 장례식장(공간), 너무 많은 요소들이 사회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문화다. 이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조금 설레기까지 했다. 성차별적인 관례를 없애는 것은 당연하고 우리에게, 아니 나에게 새로운 장례 문화가 필요하다는 것은 확실하다.
김윤정
(이번 주제가 있는 회원 교육은) 내게 있어서는 조금도 조명 받지 못했던 주제가 곁으로 다가오는 계기가 되었다. 강의를 통해 그동안 장례식 과정에서 생각지도 못했던 성차별 사회를 확인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약 10년 전, 시모의 장례 과정에서 경험한 분노로 나만의 길을 선택한 적이 있었다. 그 경험의 의미가 이번 2강을 통해 해석이 되었다. 가족과 사회문화에 녹아 있어서 인식하지 못한 성차별과 가부장제적 문화가 나를 화나게 했음을 알게 된 것이다. 그저 관례라고 생각했기에 묵묵히 따랐던 것들이 가부장제를 부지불식간에 승인한 것이었다.
이 강의를 통해 인식하게 된 것은 무엇보다 꼭 그랬어야 하는 장례식은 없었다는 것이다. 남자라고, 맏형이라고 꼭 그의 의사를 따라야 했던 것은 아니었다. (성)평등한 장례문화를 만들어갈 수도 있음을 알았다. 시모 장례식 이후 잿 속에 묻혀 있던 화난 감정의 불씨가 되살아나는 느낌을 받았지만, 강의가 끝나고 그 불은 더 이상 나에게 화상을 입히지 못하고 새로운 방식의 장례식을 생각해보게 되는 에너지로 전환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최경숙
캠페인 기획단 참여 링크 ▶ https://forms.gle/ZhLSHU1UY2NSLLNn7
후속 캠페인을 위한 후원 해피빈 링크 ▶ https://happybean.naver.com/donations/H000000172211
'여성인권 활동 > 후기·인터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질문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만들어가는 활동가이다" - 2020 전국활동가학습 2회차 후기 (0) | 2020.06.17 |
---|---|
성평등한 장례를 위해서: 2020 주제가 있는 회원 교육 <죽음과 장례 편> 3강 후기 (0) | 2020.06.16 |
공략할 것인가 낙후시킬 것인가: 2020 주제가 있는 회원 교육 <죽음과 장례 편> 1강 후기 (0) | 2020.06.16 |
2020 가정폭력 피해 여성이 직접 만드는 문화공연 <마음대로, 점프!> 오리엔테이션 후기 (0) | 2020.06.03 |
각자의 자리에서 함께 공부하며 한발 더 나아가는 2020 전국활동가학습 - 1회차 학습 후기 (0) | 2020.05.20 |
댓글